음... 저는 아시는 분은 아시겠지만
프로그래머 입니다.
뭐 아직 경력도 미비하고 실력도 부족하지요.
다룰 수 있는 언어도 아직은 단하나 뿐이구요. 이 글은 '만약 내가 JAVA를 배운다면?'이라는 가정에서 출발합니다. 언젠간 배워야지라고 생각하고 있던 일이거든요.
이참에 계획 한번 세워볼랍니다 ^-^
첫째 마당
사실 기본이 가장 중요합니다.
자바라고 해서 그 진리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죠.
차근차근히 기초를 쌓아봅시다
01234567
아마도 베이스가 되는 윈도우에 대해서는 필수구요, 컴퓨터 구조, 알고리즘과 자료구조 등을 배워야 합니다. 이 단계에서 우리는 어떤 플래폼과 언어를 사용해서도 PC라는 환경에 적합한 프로그래밍을 할 수 있도록 기본을 갖추게 됩니다.
둘째 마당
이제 자바의 기초를 잡을 시간입니다 >ㅁ<
차근차근히 자바와 친해지면서 프로그래밍을 시작해 봅시다.
특히나 이 단계에서는 볼만한 책이 많습니다. IT CookBook과 HeadFirst시리즈는 특히나 우리가 자바에 더 쉽게 접근할 수 있게 도와줍니다
012345
셋째 마당
이제 어느정도 자바의 기초는 준비되었습니다.
그럼 이제 고급 기술을 배우기 전에
고급 기초라고 해야 하나요 개발자적 마인드와 개발방법론 기초를 쌓아둘 필요가 있습니다.
이제 유치한 코드가 창피하다는 것은 알고 있을테니 말이죠 ^-^
01234567891011
개발자적 마인드와 UML을 이용한 체계적 설계는 견고하고
철학이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해주며, 디자인 패턴과 API를 통해서 더욱 효율적이고
좀더 많은 일이 가능한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게 되었습니다.
넷째 마당
이제 고급 프로그래로 가기 위해서
좀더 스킬을 늘릴 수 있는 그런 책들을 한번 살펴 볼까요?
01234567891011121314151617181920
네트워크와 자바 웹을 구현해 보면서
자신의 영역을 넓혀 가는 것이죠
이쯤되면 자바로 못하는게 없겠는걸요 ㅎ
다섯째 마당
자아 이제 자바를 이용한 프로그램을 더욱 견고하게 만들어줄
그런 책을 봐야 할 필요가 있을 것 같습니다. 보안을 강화된 프로그램을 만들어 봅시다.
01
이제 슬슬 목표에 도착해 가는 군요.
OOP를 통해서 오픈소스 프로그램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세계적으로 유명해질
기가막힌 프로그램을 만들어 내는 거죠.
상상만해도 끝내주지 않나요???
0123
자아 저는 이렇게 목표햇던 바를 다 이루었군요.
다른 분들은 어떠신가요?
사실 이렇게 되기까지 몇년이 걸릴지는 모를일입니다.
아직은 햇병아리이고 자바는 학교 다닐때 잠깐 조물락 거린것이 전부이니까요 ^-^
하지만 못하리란 법은 없는 것 아니겠어요 열심히 하나하나 단계를 밟아
꿈에 다가서는 그날까지 그저 부던히 노력하는 수 밖에는
답이 없지 않은가 싶습니다.
굳이 개발자가 아니라 하더라도
만고 불변의 법칙이자 진리인
노력의 힘을 한번 믿어 보면서
열심히 하루하루 보람차게 살아보자구요!!!
행복한 꿈을 꾸세요
언젠가 현실이 되었을때 더욱 기쁠 수 있도록~☆
덧..
1. 현재 하시는 일은 무엇인가요?
[델파이를 이용해서 화상회의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2. 로드맵에서 각 단계별로 같이 보면 좋은 책이 있나요?
[아키텍쳐 이론과 케이스툴 관련 도서, 방법론 도서를
함께 읽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3. 로드맵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자바를 잘 아는것도 아니고 저 도서들을 전부 읽어본 것이 아니라서
오히려 다른 분들께 혼란을 주지나 않을지요... ^-^;;]
시간이 흐를수록 좋은 기능을 갖춘 좋은 제품들이 쏟아져 나오는
이 시대에 우리가 만드는 제품이 경쟁력을 가지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답은 간단합니다 조금더 사용자를 고려한 제품을 만들면 됩니다
사용자들이 사용하기 쉽고 기능이 직관적이며
보기에도 좋은 제품 말이죠
사용자를 고려한 제품과 서비스는 이제 가장 큰 경쟁력을 갖게 하는 요인이다
이 책에 부제는 다음과 같습니다
[불확실한 세상에서 위대한 서비스를 탄생시키는 UX 전략]
우리는 불확실한 세상을 살고 있습니다
변화의 속도도 빠르고 사람들의 적응도 빠릅니다 그만큼 소비자의 Needs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는 것이죠 그렇다면 이런 변화에 발맞추려면 우리는 정보를 얻는 대상을
바로 소비자로 잡아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장 좋은 소비자 확보 요인은 겉으로 드러나는 디자인입니다
디자인의 성공을 결정하는 요소
사용자의 편의성을 기초로 선택의 다양성, 휴대성 등을 고려하여 잘 뽑혀진 디자인은 제품의 성패를 가늠할 수 있는 가장 쉬운 요소이지요
가장 바른 선순환 구조
사실 이 책의 촛점은 '전략'에 있습니다
제품 개발에 UX를 적용하는 기술적인 내용이 아닌
제품을 개발하고 판매에 이르기까지 일련의 '전략'을 담고 있습니다
많은 성공 사례를 들어서 우리의 방향성을 제시해 주지요
하지만 이 책의 내용이 정답일거란 생각은 마십시오
지금 이순간도 변화는 이루어지고 있으며
'전략'은 상황에 많이 좌우되기 때문이죠
교감 또는 공감에서 오는 만족감이 사용자를 움직인다
결코 변하지 않는 요소도 있습니다 사용자와의 '공감'이 바로 그것이죠
사용자와 공감하지 못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는
큰 약점을 가지고 있기에
(예를 들어 쉽게 사용자가 떠나게 만들만한 복잡함)
이를 극복하는데는 필수적인 요소이죠
이 내용은 책의 전반에 걸쳐서
반복적으로 이야기 되고 있습니다
그만큼 중요하단 얘길 하고 싶었던 것이겠죠
아직도 사용자를 무시하고
개발자 편의대로 제품을 만들 생각을 하신다면
이제 제발 그런 생각은 버리시기 바랍니다 적어도 성공적인 제품을 원하신다면 말이죠